개막식
서울독립영화제의 시작을 알리는 공식행사

| 일시 | 2025. 11. 27. 목. 19:00 |
| 장소 | CGV압구정 4관 + ART 2관 |
| 사회 |
배우 권해효 |
| 개막 공연 | 언하비 |
| 개막작 | <무관한 당신들에게> Dear you, unrelated – World Premiere 김태양, 손구용, 이미랑, 이종수 KIM Taeyang, SOHN Koo-young, LEE Mi Rang, LEE Jongsu | 2025 | Fiction | Color+B/W | DCP | 50min (K) World Premiere |
|
|
배우프로젝트 – 60초 독백 페스티벌
새로운 독립영화의 얼굴을 발굴하고 창작자와 배우를 연결하는 오디션 프로그램
| 일시 | 2025. 12. 1. 월. 17:00 |
| 장소 | CGV청담씨네시티 MCUBE관 |
| 심사위원 | 권해효(배우), 조윤희(배우), 변영주(감독), 장혜진(배우), 조재윤(배우), 이란희(감독) |
독립영화 매칭 프로젝트: 넥스트링크
독립예술영화 유통배급지원센터 인디그라운드와 의기투합한 창작자 중심의 독립영화 제작, 배급 환경을 모토로 한 매칭 프로젝트
서울독립영화제X인디그라운드
독립영화 매칭 프로젝트: 넥스트링크(NEXT LINK)
| 일시 | 2025. 12. 2. 화 ~ 12.3. 수 |
| 장소 | 안다즈 강남, CGV압구정 |
| 주최 | 영화진흥위원회, (사)한국독립영화협회 |
| 주관 | 독립예술영화 유통배급지원센터 인디그라운드, 서울독립영화제2025 집행위원회 |
프로그램 안내
서울독립영화제 X 인디그라운드 [독립영화 매칭 프로젝트: 넥스트링크(NEXT LINK)]는 독립영화 매칭프로젝트로 국내 최초의 독립영화 중심 산업 네트워크 플랫폼이다. 올해로 6회를 맞이한 넥스트링크는 ‘배급 매칭프로젝트’와 ‘창작자포럼’으로 구성된다. ‘배급 매칭프로젝트’는 서울독립영화제 장편상영작중배급사가 결정되지 않은 작품의 배급을 지원하는 프로젝트이며, ‘창작자 포럼’은 넥스트링크에 참여했던 창작자들과의 대화를 통해 배급 미팅부터 개봉까지의 여정을 돌아보는 자리이다.
* 넥스트링크는 서울독립영화제2025 상영 감독과 산업 관계자를 대상으로 별도 신청을 통해 진행합니다.
창작자의 작업실
영화를 둘러싼 다양한 창작자의 작업과정을 세밀하게 들여다볼 수 있는 스페셜 토크 프로그램
창작자의 작업실 1. Cinematic Faces – 강진아 x 박종환
| 일시 | 2025. 12.01. 월 19:30 |
| 장소 | CGV압구정 ART 1관 |
| 사회 | 진명현(무브먼트 대표) |
| 참석 | 강진아(배우), 박종환(배우) |
독립영화라는 때로는 망망한 바다의 풍경 안에서 각자의 물결로 세차게 일렁여 온 두 배우, 강진아와 박종환을 서울독립영화제2025 창작자의 작업실에 초대한다. <소공녀> <한강에게> <태어나길 잘했어>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해 온 강진아는 <3학년 2학기>에서 인상 깊은 연기를 선보이며 제50회 서울독립영화제 독립스타상을 받았고, 박종환은 개막작 <신생대의 삶>을 비롯해 <이 영화의 끝에서> <미지수> <최초의 기억> 등 여러 작품으로 2023년 제49회 서울독립영화제에 참여하며 집행위원회특별상을 받았다. 한국 독립영화가 거쳐 온 수많은 정거장마다 발자취를 남겨 온 두 배우의 여정을 함께 되짚어 본다
* 영화 상영 없이 바로 ‘창작자의 작업실’ 토크를 진행합니다
창작자의 작업실 2. 한지원, 애니메이션이라는 마법을 위한 그녀의 레시피
| 일시 | 2025. 12.1. 월 17:30 |
| 장소 | CGV압구정 ART 1관 |
| 사회 | 나호원(애니메이션 연구자) |
| 참석 | 한지원(애니메이션 감독) |
2010년 단편 <코피루왁> 이후, 한지원은 단편과 장편, 독립과 상업, 극장과 OTT를 넘나들며 새로운 애니메이션 제작 시스템을 실험해 왔다.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생태계를 모색해 온 그의 마법 레시피 속에서 창작자로서의 치열한 고민과 자기 증명의 과정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 영화 상영 없이 바로 ‘창작자의 작업실’ 토크를 진행합니다
토크포럼
독립영화 창작자, 기획자, 연구자들이 함께 경험을 나누며 새로운 미래를 조망하는 자리
포럼1. 2025년 정책포럼: 영화가 오려면 변화가 필요해: 새 정부 출범 반년, 한국영화 생태계 재설계를 위한 실천 로드맵
| 일시 | 2025. 12. 3. 수. 14:00-16:00 |
| 장소 | CGV압구정 ART1관 |
| 사회 | 정상민(한국영화제작가협회 부회장) |
| 발표 | 이화배(배급사연대 대표, 이화배컴퍼니 대표), 조영신(AI 시대 영상정책특별위원회 위원장, 미디어산업평론가), 안병래(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PGK) 운영위원, 고집스튜디오 대표), 원승환(인디스페이스 관장), 장은경(미디액트 사무국장) |
| 토론 | 김상민(에무시네마 대표), 박관수(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PGK ) 부대표) |
| 주관 | 영화산업위기극복 영화인연대, 서울독립영화제2025 집행위원회 |
한국영화의 불균형한 구조와 위기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영화인연대는 새 정부 출범 반년을 맞아 영화정책의 방향을 점검하고, 필요한 과제를 제안하기 위해 정책 포럼을 마련했다. ‘영화가 오려면 당신이 필요해’라는 제목 아래 열리는 이번 포럼은 영화가 관객을 만나는 공정한 유통 구조의 재정비와 다양성 중심의 영화문화 회복을 두 축으로 삼아, 산업과 정책, 그리고 관객이 함께 만드는 새로운 영화 생태계의 실천 방향을 모색한다. 1부에서는 홀드백 제도, 불공정 정산, OTT 계약 등 유통 전반의 공정성 회복과 시장 구조의 합리적 조정을 다루며, 2부에서는 다양성 정책, 창작 생태계의 회복, 관객 개발을 통해 새 정부가 추진해야 할 영화문화 정책의 구체적 초점과 실행 방향을 제안하려 한다. 계엄 1주기이자 새 정부 출범 반년, 이제 필요한 것은 위기 진단을 넘어선 실천적 설계이다. 올 한 해 영화인연대는 전주–부천–부산영화제의 정책포럼을 오가며 불공정 구조의 현실과 영화문화의 붕괴를 진단해왔다. 서울독립영화제에서 열리는 이번 포럼은 그 논의의 결산이자, 실행을 설계하는 자리다.
포럼2. 2025년 창작자포럼: 영화 제작 그 후, 관객을 만나기까지
| 일시 | 2025. 12. 2. 화. 14:00-15:30 |
| 장소 | CGV압구정 ART1관 |
| 사회 | 진명현(무브먼트 대표) |
| 참석 | 장병기(감독), 오정민(감독), 임오정(감독) |
| 주관 | 독립예술영화 유통배급지원센터 인디그라운드, 서울독립영화제2025 집행위원회 |
영화는 제작이 끝나는 순간부터 또 다른 길을 맞이하게 된다. 창작자가 모든 역량을 쏟아 영화를 완성한 이후에도 관객을 만나기까지의 과정은 멀고 험난하다. 배급사를 만날 수 있는 창구는 제한적이며, 극장 개봉에서 디지털 배급, 공동체상영으로 이어지는 현재의 산업 구조 속에서 창작자가 주도적인 역할을 확보하기는 쉽지 않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서울독립영화제X인디그라운드의 ‘독립영화 매칭 프로젝트: 넥스트링크’는 2020년부터 창작자와 독립영화 유통·배급 주체를 연결하는 핵심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본 포럼에서는 넥스트링크를 통해 배급사와 인연을 맺고 극장 개봉을 통해 관객을 만난 실제 사례들을 중심으로 영화 제작 이후의 산업적 여정을 돌아본다. 독립영화 배급의 현실 속에서 창작자의 역할은 무엇인지, 산업적 시스템 안에서 어떠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을지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포럼3. 2025년 기술포럼: 한국영화촬영감독조합(CGK)과 함께하는 ‘촬영감독이 묻고 촬영감독이 답하다’ – 새로운 물결, 젊은 시선의 카메라
| 일시 | 2025. 11. 30. 일. 14:00-16:00 |
| 장소 | CGV압구정 ART1관 |
| 사회 | 김치성(촬영감독) |
| 참석 |
이주환(촬영감독), 한상길(촬영감독), 이지민(촬영감독), 김진형(촬영감독) |
| 주관 | 한국영화촬영감독조합(CGK), 서울독립영화제2025 집행위원회 |
생각과 상상을 담은 글을 영화적 이미지로 표현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이미지 스토리텔링의 중요 지점에 서 있는 촬영감독은 지금의 시기와 영화를 어떻게 바라보고, 어떤 관점과 태도를 가져야 할까? 영화적 열정을 가지고 활약하는 젊은 촬영감독 4인과 함께 지금의 영화와 시대에 필요한 이야기를 자유롭고 솔직하게 나누어 보고자 한다. <3학년 2학기> 이주환 촬영감독, <3670> 한상길 촬영감독, <여름의 카메라> 이지민 촬영감독, <미망> 김진형 촬영감독은 시대와 세대 간 이야기와 변화를 어떻게 이해하고 접근하여 이미지화 했는지, 자신만의 독특한 이미지 표현방식과 영화적 표현의 확장방식은 무엇이 있는지, 질문하고 대답해 보고자 한다.
포럼4. 2025년 영화제포럼: 급변하는 시대, 영화제는 어떻게 지속될 것인가
| 일시 | 2025. 12. 3. 수. 16:30-18:00 |
| 장소 | CGV압구정 ART1관 |
| 사회 | 조지훈(무주산골영화제 프로그래머) |
| 참석 |
김보년(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래머), 이지혜(영화사 찬란 대표), 장건재(감독), 정지혜(영화평론가) |
| 주관 | 영화제정책모임, 서울독립영화제2025 집행위원회 |
팬데믹 이후, 극장은 더 이상 영화의 절대적 거점 공간이 아니다. 전통적인 영화산업은 OTT에게 상당 부분 자리를 내주었고, 극장을 중심으로 움직이던 관객은 흩어진 후 다시 돌아오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도 영화제에 대한 영화인들과 관객들의 선호도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극장을 기반으로 영화제는 영화산업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영화와 영화인과 관객, 스크린과 공간을 이어주는 중요한 장소로 기능하고 있다. 하지만 전통적 영화산업의 축소, 한국영화의 침체, 극장의 쇠퇴, 관객의 양극화 속에서 영화제는 이전과는 다른 역할과 의미를 요구 받고 있고, 각 영화제들은 이런 변화에 대해 고심하면서 대응하고 있다. 이번 포럼에서는 급변하는 현실 속에서 영화제가 관객과 창작자들에게 어떤 ‘영화적 경험’을 전하는 공간이 되어야 하고, 영화제는 여전히 영화를 위한 공간인지, 영화와 영화인, 관객을 위해 어떤 공간이 되어야 하는지, 급격한 변화 속에서 영화제는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할지에 대해 영화제와 오랫동안 함께 해온 영화계 전문가들과 함께 이야기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한다.
포럼5. 2025년 지역포럼: 지역영화정책의 과거와 미래
| 일시 | 2025. 12. 1. 월. 14:00-15:30 |
| 장소 | CGV압구정 ART1관 |
| 사회 | 강내영(경성대 연극영화학 교수, 지역영화문화진흥소위 위원장) |
| 참석 |
이대현(영화진흥위원회 영화문화팀), 안재현(강원문화재단 강원영상위원회), 김현정(영화감독), 김민재(미디어센터내일 센터장), 박영완(전북독립영화협회, 지역영화 네트워크 대표) |
| 주관 | 영화진흥위원회, 서울독립영화제2025 집행위원회 |
영화진흥위원회. 지역소위 위원장, 담당자를 포함하여 각 지역별 창작자, 지역 영화·영상 공공기관 담당자, 지역영화 민간단체 담당자 등이 모여 ‘지역영화정책의 과거와 미래’를 논한다. 포럼은 영화진흥위원회 담당자의 발제로 시작하여 영화진흥위원회 지역영화정책의 과거부터 공공기관의 지역 영화 예산편성 관련 외부 환경, 지역예산이 남아 있는 타 중앙 정부 산하 공공기관 사례, 지역영화 예산이 사라진 이후 지역별 상황, 27년도 지역영화 신규 정책 설계에 대한 논의까지 폭넓게 다뤄질 예정이다.
포럼6. 2025년 AI포럼: AI 시대의 독립영화 : 새로운 가능성과 한계
| 일시 | 2025. 12. 2. 화. 15:00-17:00 |
| 장소 | CGV청담씨네시티 시네마 프리미엄관 |
| 사회 | 박꽃(기자) |
| 발표 | 장훈(크리에이티브망고 대표), 이상호(법무법인 웅빈 변호사) |
| 토론 |
유형준(감독), 박성원(감독), 조형래(감독), 김운하(감독), 전예린(감독), 안상욱(감독), 강기명(트리플픽쳐스 대표) |
| 주관 | 영화진흥위원회, 한국영화아카데미(KAFA), 서울독립영화제2025 집행위원회 |
인공지능(AI)이 독립영화 창작 과정에 미치는 영화과 활용방안을 다각도로 논의하며, 창작의 확장과 윤리, 저작권 보호 방안을 함께 모색하는 자리로서, 구체적인 제작사례를 통해 AI를 활용한 독립영화의 확장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시네토크
창작자들과 영화 및 그 배경에 대해 면밀하게 이야기 나누는 토크 프로그램
시네토크 1
독립영화 아카이브전 1
부활하는 산하 Reviving Land 이정하 LEE Jeong-ha
| 일시 | 2025. 11. 30. 일 16:20 |
| 장소 | CGV압구정 ART 1관 |
| 진행 | 공영민 (영화사 연구자) |
| 참석 | 이수정(감독), 안훈찬(프로듀서), 김재호(촬영감독) |
※ 영화 상영 후 시네토크가 진행됩니다.
시네토크 2
독립영화 아카이브전 2
전진하는 노동전사 Forward, Labor warriors 전태일기념사업회, 영화공장 새벽 Chun Tae-il memorial association, Film Factory Saebyeok
| 일시 | 2025. 11. 30. 일 18:40 |
| 장소 | CGV압구정 ART 1관 |
| 진행 | 남태제(감독) |
| 참석 | 정혜주(감독), 이수정(감독) |
※ 영화 상영 후 시네토크가 진행됩니다.
시네토크 3
독립영화 아카이브전 3
스케이트 Skate 조은령 CHOEun-Ryung
동시에 Simultaneity김성숙KIM Seong Soog
영영 An eternity김대현 KIMDae-hyun
집행 Execution 이인균LEE In-kyun
소풍 The Picnic 송일곤 SONG Il-gon
| 일시 | 2025. 11. 29. 토 15:30 |
| 장소 | CGV압구정 ART 1관 |
| 진행 | 김형석(영화 저널리스트) |
| 참석 |
김대현(감독), 이인균(감독), 김용균(감독) |
※ 영화 상영 후 시네토크가 진행됩니다.
시네토크 4
페스티벌 초이스 장편 쇼케이스 10
호루몽 Horoomon 이일하 LEE Ilha
| 일시 | 2025. 12. 04. 목 19:30 |
| 장소 | CGV압구정 4관 |
| 진행 | 김소연(국제앰네스티 매니저) |
| 참석 | 이일하(감독), 신숙옥(출연) |
※ 영화 상영 후 시네토크가 진행됩니다.
시네토크 5
KAFA 기획전 3
창백한 얼굴들 On The White Planet 허범욱 HUR BumWook
| 일시 | 2025. 12. 02. 화 17:40 |
| 장소 | CGV압구정 ART 1관 |
| 진행 | 추혜진(프로그래머) |
| 참석 | 허범욱(감독), 조경훈(스튜디오 애니멀 대표, 감독) |
※ 영화 상영 후 시네토크가 진행됩니다.
시네토크 6
해외초청 2
네 멋대로 해라 Breathless 장 뤽 고다르 Jean-Luc GODARD
| 일시 | 2025. 11. 29. 토 19:30 |
| 장소 | CGV압구정 3관 |
| 진행 | 정성일(영화평론가) |
※ 영화 상영 후 시네토크가 진행됩니다.
마스터클래스
해외초청 13
여행과 나날 Two Seasons, Two Strangers 미야케 쇼 MIYAKE Sho
| 일시 | 2025. 12. 02. 화 19:40 |
| 장소 | CGV청담씨네시티 3관(컴포트관) |
| 진행 | 남다은(평론가) |
| 참석 | 미야케 쇼(감독) |
※ 마스터클래스는 해당 영화 상영이 끝난 후 진행됩니다.
해외대담
일본 독립영화, NOW
| 일시 | 2025. 12. 02. 화 17:30 |
| 장소 | CGV압구정 ART 2관 |
| 진행 | 이우빈(기자) |
| 참석 | 아담 토렐(Third Window Films 설립자, <카메라를 멈추면 안 돼!> 해외 배급), 키마타 쥰지(미니씨어터 시네마스코레 설립자, 아이치국제여성영화제 디렉터), 야스다 준이치(<사무라이 타임슬리퍼> 감독), 이노우에 준이치(<청춘강탈: 아무 것도 우리를 멈출 수 없다2> 감독) |
최근 일본 영화계는 성공적인 세대 교체를 이루며 산업적·비평적으로 활력을 되찾고 있다. 본 프로그램은 그중 두드러진 성과를 거둔 일본 독립영화들을 통해 변화의 흐름을 짚어보고자 한다. 이들과 함께 일본 독립영화의 새로운 배급 전략과 상업영화와 차별화된 유통방식을 논의하며, 최근 일본 영화계의 흐름과 한일 교류를 통한 독립영화 배급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영화 상영 없이 바로 해외대담을 진행합니다.
※ 해외대담 참석자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GV(Guest Visit)
상영작의 감독과 배우를 만날 수 있는 관객과의 대화
깜짝 상영
관객심사단이 선정한 경쟁부문 단편 작품들을 상영하는 깜짝 프로그램
깜짝 상영
| 일시 | 2025.12.5 (금) 16:00 |
| 장소 | CGV압구정 ART2관 |
| 상영작 | 관객심사단이 선정한 경쟁부문 단편 작품 |
심야 상영
밤새 서울독립영화제와 함께하는 독립영화가 빛나는 밤
심야상영: 밤새GO!
| 일시 | 2025.11.29 토 24:00 |
| 장소 | CGV압구정 신관 4관 |
* 상영 중간 2회의 휴식시간이 있습니다.
* 이벤트를 통해 다양한 기념품을 드립니다.
관객 이벤트
※ 준비된 수량 소진 시 마감됩니다.
Event 1.
영화보다 짜릿한 발견! ‘마스마룰즈’ 가방을 찾아라!
영화제 기간 동안 영화관 구석구석에 숨겨진 행운의 이벤트 당첨봉투(총 10개)를 찾아보세요.
봉투를 발견하신 관객께는 기념품부스에서 ‘마스마룰즈상품’을 선물로 드립니다.
영화 관람의 즐거움에 보물찾기의 설렘을 더해 보세요.
| 일시 | 2025. 11. 28. 금. ~ 12. 05. 금 |
| 장소 | CGV압구정 |
※ 당첨 봉투는 반드시 기념품 부스에서 확인 후 교환해주세요
Event 2.
설문에 참여하면 한맥에서 쏜다! 더 부드러운 맥주, ‘한맥’ 증정!
현장에서 서울독립영화제2025 설문 참여 후, 스태프에게 한맥 1캔 받아가세요.
| 일시 | 2025. 11. 28. 금. ~ 12. 05. 금 |
| 장소 | CGV압구정 초청부스 |
| 일시 | 2024. 11. 29. 토. ~ 12. 02. 화 |
| 장소 | CGV 청담씨네시티 초청부스 |
※ 해당 이벤트 물품은 성인에 한하여 제공됩니다.
※ 지나친 음주는 뇌졸중, 기억력 손상이나 치매를 유발합니다. 임신 중 음주는 기형아 출생 위험을 높입니다. | 제조사 / 판매사 : 오비맥주
Event 3.
심야영화의 상쾌한 마무리! 조르단 코리아의 칫솔&치약 세트 챙겨 가세요!
심야상영 관객에게 조르단 코리아 칫솔&치약 세트를 드립니다.
| 일시 | 2025. 11. 29. 토. 24:00 |
| 장소 | CGV압구정 4관 |
※ 본 이벤트는 입장 시 제공됩니다.
Event 4.
“감독님, 영화 잘 봤고요… 질문하면 선물도 주신다면서요?”
관객과의 대화에서 질문해 주신 관객들께 크레마클럽 60일 이용권, 생각과자, 빈스로드 원두 중 1개(랜덤)를 드립니다.
| 일시 | 2025. 11. 28. 금. ~ 12. 05. 금. |
| 장소 | CGV압구정 |
| 일시 | 2025. 11. 29. 토. ~ 12. 02. 화. |
| 장소 | CGV 청담씨네시티 |
Event 5.
Enjoy Your Special Day! 3일간 찰칵! 서울독립영화제에서 특별한 추억을!
금요일부터 일요일까지 3일간 서울독립영화제2025 루나포토 포토존에서 특별한 추억을 만들어 보세요!
| 일시 | 2025. 11. 28. 금. ~ 11. 30. 일. 1PM ~ 8PM |
| 장소 | CGV압구정 신관 로비(1층) |
※ 본 이벤트는 1일 수량 한정으로 조기마감 될 수 있습니다.
폐막식
선정된 작품과 인물의 시상식을 진행하며 서울독립영화제의 끝을 알리는 공식행사
| 일시 | 2025. 12. 5. 금. 19:00 |
| 장소 | CGV압구정 4관 + ART 2관 |
| 사회 |
배우 공민정, 서현우 |
| 폐막작 | 서울독립영화제2025 수상작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