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관한 당신들에게
서울독립영화제2025 (제51회)
김태양,손구용,이미랑,이종수 | 2025 | Fiction | Color+B/W | DCP | 49min (K) World Premiere
TIME TABLE
SYNOPSIS
<무관한 당신들에게>는 픽션의 역량을 믿어 보는 동시대적 프로젝트이다. 이미랑, 이종수 두 감독은 <미망인>의 유실된 결말을 상상적으로 복원했다. 이미랑의 〈미망인: 다시 맺음〉에서 이신자는 원작과 사뭇 다른 결정을 내린다. 감독은 아프레걸(Apres-girl)로 여겨지곤 했던 〈미망인〉의 주인공, 신자의 갈등과 결심, 이어서 내딛는 낯선 발걸음을 담아냈다. 이종수는 〈이신자(異晨者)〉에서, 택에게 복수하기 위해 대장장이를 찾아가는 이신자의 모습을 새롭게 구상했다. 복수를 위한 칼을 고르는 시퀀스가 더해지면서, 영화는 드라마에서 스릴러의 요소가 가미된 새로운 장르로 전환된다. 김태양은 2024년 작품 <미망>의 두 번째 단편을 흑백으로 바꾸고 <미망인>과 교차 편집을 통해 새로운 단편 <무관한 당신들에게>를 만들었다. 손구용의 〈보이지 않는 얼굴(들)〉은 박남옥 감독이 평생 연모했던 배우 김신재와, 실제 〈미망인〉의 주연을 맡은 배우 이민자, 즉 영화의 바깥에 존재하는 잠재적 얼굴과 프레임 안에 이미지로 포획된(재현된) 얼굴의 관계를 허구적으로 탐색하는 작업을 선보인다.
DIRECTING INTENTION
박남옥 감독의 유작, 〈미망인〉(1955)은 우리를 (불)가능성의 장소로 인도한다. 감독이 남긴 단 한 편의 영화 〈미망인〉은 한국 여성 영화인의 계보를 재정립하게 하는 주춧돌로 작용한다. 우리는 한국 영화사의 새로운 가능성을 한 여성 감독을 통해 발견했다. 한편, 결말이 유실된 채 우리에게 도착한 미결의 영화 〈미망인〉은 작품을 오롯하게 독해할 수 없는, 불가능성을 남긴다. 다시 말해, 박남옥과 감독의 작품 〈미망인〉은 한국 최초의 여성 영화감독이라는 봉인된 문을 열었지만, 그 문을 열고 들어간 우리는 여전히 미지의 영역 속에 머물러있다. 김태양, 손구용, 이미랑, 이종수, 네 명의 감독은 〈미망인〉의 유실된 결말을 상상적으로 복원하거나, 영화의 제작 과정을 허구적으로 탐색한다. 또한, 기존 영화를 〈미망인〉의 장면들과 교차해서 편집함으로써, 두 픽션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적, 영화적 간격을 좁혀 보기도 한다. 이들은 지난 세기의 한 감독이 연출한 영화를 단서 삼아, 자신의 영화와 접합 시켜보는 시도에 참여했다.
FESTIVAL & AWARDS
World Premiere
DIRECTOR
김태양
2014 그저 그렇게
2019 달팽이
2020 기억체험극장
2021 인수인계
2022 서울극장
2023 미망
2025 나만 아는 춤
손구용
2018 산책
2018 서울의 겨울
2021 오후 풍경
2023 밤 산책
2024 공원에서
이미랑
2005 베트남 처녀와 결혼하세요
2007 목욕
2013 춘정
2023 딸에 대하여
이종수
2023 부모 바보
2024 인서트
STAFF
<무관한 당신들에게>
연출 김태양
제작 노하정
기획 문주화
각본 김태양
촬영 김진형
편집 이호승
조명 안경훈
음악 김태산
미술 김남숙
음향 이지성
믹싱 포스트 사운드잇(김주현, 김준용, 양혜진)
출연 이명하, 박봉준
<보이지 않는 얼굴(들)>
연출 손구용
제작 손구용
기획 문주화
촬영 문용훈
편집 손구용
스틸촬영 박수환
출연 윤세현, 한새연
<미망인: 다시 맺음>
연출 이미랑
제작 김지룡, 이미랑
기획 문주화
각본 이미랑
촬영 김지룡
편집 이미랑
조명 김지룡
음악 김용은
미술 장유진
스틸촬영 박수환
출연 하윤경, 정동근, 하성국, 이다니
<이신자(異晨者)>
연출 이종수
제작 정보라
기획 문주화
각본 이종수
촬영 김유민
편집 이종수
조명 임만상
음악 이종수
미술 정보라
스틸촬영 박수환
출연 황현빈, 윤혁진, 김기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