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퍼의 빛
서울독립영화제2024 (제50회)
정재훈 | 2024 | Documentary | Color | DCP | 147min (KN, KE, E)
TIME TABLE
11.29(금) | 16:20-18:46 | CGV압구정(신관) ART2관 | E, K, KN, GV, 12 |
12.1(일) | 19:00-21:26 | CGV압구정(신관) ART2관 | E, K, KN, GV, 12 |
12.3(화) | 12:20-14:46 | CGV압구정(신관) 4관 | E, K, KN, 12 |
SYNOPSIS
열 명 남짓한 십 대들이 누구든 될 수 있고, 어떤 이야기든 만들어 나갈 수 있는 세계에서 살아간다. 리산시티, 알스트로에메리아 숲, 아수아 섬의 짙은 어둠을 오가며 그들이 상상하는 이야기는 여러 선택지들을 통과해 나가며 희미한 빛을 찾아간다.
DIRECTING INTENTION
동시대를 살아가는 청소년들의 마음, 청소년들의 서사는 어디에 있는가?
FESTIVAL & AWARDS
2024 제28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작품상
2024 제5회 Lima Alterna Festival Internacional de Cine
DIRECTOR

정재훈
2009 호수길
2011 환호성
2017 도돌이 언덕에 난기류
2021 Trans-Continental-Railway
STAFF
연출 정재훈
제작 고유희
각본 강유진, 고유희, 김시연(가명), 모데스토바 나타샤, 심다하, 양규리, 양효리, 이새나, 이현빈, 임철민, 정재훈, 정은석(가명), 조현철, 최연진, 한서화
촬영 박수환
편집 정재훈
조명 양우석, 최윤의
음악 고우, 최태현
미술 이병재, 이윤호 (신도시)
출연 모데스토바 나타샤, 심다하, 양규리, 양효리, 이새나, 최연진, 한서화
특수분장 이소연
시각효과 임철민
타이틀/텍스트 디자인 양민영(불도저)
의상 김영빈
조감독 김인범, 이현빈
협업 프로듀서 박홍준, 안지환
스토리보드 김보용
D.I 임학수 (전주영화제작소)
후반 사운드 이상혁 (전주사운드마스터링 스튜디오)
녹음 배수찬
영문자막 이경후
PROGRAM NOTE
모험을 떠나 본 적 언제인가. <에스퍼의 빛>은 제목 그대로 초감각적인 모험을 선사한다. 다만 그 방식이 익숙한 서사 대신 형식을 넘나들고 충돌시키는 자유로움이란 점에서 특별하고 이채롭다. 영화는 SNS를 기반으로 한 TRPG(Tabletop Role Playing Game)를 즐기는 아이들의 이야기로 문을 연다. 대화를 통해 분담된 역할을 연기하며 진행되는 커뮤니티형 게임은 ‘괴력의 아이들’, ‘새벽의 파편’, ‘기뇌국’ 세 개의 파트로 나뉘어져 있다. 카메라는 플레이어로 참여한 아이들의 활약을 담는다. 여기까지는 여느 영화 혹은 게임 서사와 크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이야기와 설정 바깥에서 인물들이 역할을 연기하는 과정까지 담아내기 시작하자 상황은 달라진다.
<호수길>(2009) <환호성>(2011) <도돌이 언덕에 난기류>(2017) 등 실험적인 다큐멘터리를 찍어 온 정재훈 감독이 이번엔 게임과의 접목을 시도했다. TRPG의 서사와 역할 연기하는 인물들의 상황이 마치 다큐멘터리처럼 교차하며 진행되는 이 영화는 서사영화, 다큐멘터리, 실험영화와 같은 픽션과 논픽션의 경계에서 전에 없던 길을 만들어 나간다. 특히 핸드폰을 손에서 놓지 못하는 청소년들의 삶은 실존적인 질문으로 변모하고 핸드폰은 매체를 가로지르는 존재의 근거가 된다. ‘융합’이란 단순한 표현으로 온전히 담기 힘든 이 궤적은 영화와 게임, AI와 가상현실을 가로지르는 존재 양식의 변화를 예감케 한다. 무수한 선택으로 이어진 무수한 세계 속 무수한 빛의 반짝임이 마침내 세계의 안과 밖을 매료시키는, 도전과 창의의 집약체다.
송경원 / 서울독립영화제2024 예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