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막도시
서울독립영화제2024 (제50회)
독립영화 아카이브
김의석 | 1984 | Fiction | Color | 16mm - DCP | 30min
TIME TABLE
11.30(토) | 16:00-16:44 | CGV압구정(신관) ART1관 | CT, 12 |
12.6(금) | 12:30-13:14 | CGV압구정(신관) ART2관 | 12 |
SYNOPSIS
‘섬’이라는 유토피아에 대한 꿈을 갖고 사는 가출한 두 청년은 이혼한 부부 사이에서 자취하며 살아가는 한 여자를 만난다. 세 사람 모두는 소외되고 버림받았다는 공통점을 가졌지만 본질적인 감정이나 연대감을 나눌 수 없음을, 컵 안에 갇힌 벌레의 상황이 자신들과 다르지 않음을 알고 여자와 헤어진 후 두 사람 사이의 이별 또한 불가피함을 느끼게 된다.
DIRECTOR
김의석
1981 뫼비우스의 딸
1984 창수의 취업시대
1992 결혼 이야기
1995 총잡이
STAFF
연출 김의석
출연 김용주, 김의신, 권혜숙, 김기인, 이순표
PROGRAM NOTE
젊음은 매혹적이다. 영화에서도 마찬가지다. 지금 독립영화의 가능성을 고민하며 과거의 영화로부터 영감을 얻곤 한다. 1980년대 싹트기 시작한 독립영화는 소형영화, 단편영화, 대학영화, 열린영화, 민족영화, 민중영화 등 새로운 영화에 대한 정체성과 역할을 치열하게 모색하였고, 향후 세계적 위치에 있을 한국영화의 미래를 예비하였다. <천막도시>(1984)는 김의석 감독의 중앙대 연극영화과 졸업 작품이다. 김의석 감독은 이보다 앞선 제작된 <뫼비우스의 딸>(1981)로 제7회 한국청소년영화제(서독제 전신)에서 특별상을 수상하며 주목받았고, 이후 한국영화아카데미 1기생으로 <창수의 취업시대>(1984)를 연출하였다. 세 작품 모두 대도시 속에 방황하는 당대 청년의 초상을 담고 있는데, 픽션과 논픽션을 혼합한 세련되고 감각적인 연출이 돋보인다.
가출한 두 청년은 일탈을 꿈꾸지만, 깜냥이 되지 않아 고작 한강 변에 천막을 치고 서울을 배회한다. 도시는 커가고 높은 빌딩과 소란한 차량 속에서 군중은 바쁘거나 외롭다. 두 청년은 자신처럼 소소한 일탈을 감행하는 한 여자를 알아보고 합세하지만, 별다른 사건은 전개되지 않는다. 고작 집안을 뒹굴면서 서로의 비슷한 처지를 직시할 뿐이다. 청춘은 질문과 도전과 시간이다. 매번 모험을 감행하지만, 해답은 쉬이 발견되지 않는다. 최선을 다해도 번번이 되돌아오는 시지프스의 삶. 제주도는 그들의 이상향이자 유토피아다. 그렇다면 그들은 제주도에 갈 수 있을까? 아니 새로운 세계를 꿈꾸는 이상은 계속될 수 있었을까? 조금씩 나아가고 있으나 인식하지 못하는 것이 청춘의 속성이다. 감독 자신과 당대 영화인의 자화상과 정서를 담고 있는 40년 전 필름에 애틋하고 아릿한 젊음의 공기가 그대로 담겨 있다.
이 작품은 1984년 ‘작은 영화를 지키고 싶습니다’라는 슬로건으로 열린 ‘제1회 작은 영화제’에서 상영된 6편 중 1편이다. 흩어져 있던 독립영화인이 준비한 첫 번째 대중 상영회로 이후 대학영화를 활성화하는 분기점이 되었다. 김의석 감독은 방송국에 재직 중이던 영화과 선배에게 현장 촬영용 리버설카메라를 빌려 영화를 찍었다. 필름 인화 과정이 생략되는 장점이 있었지만, 사운드 합본에 어려워 당시에도 비디오와 사운드를 각각 재생해서 현장 상영해야 했다. 세월이 지나 비디오는 보존되었으나 사운드는 유실되었다. 2024년 40년 만에 서울독립영화제 50주년을 맞아 공개하는 <천막도시>는 한국영상자료원이 비디오 디지털라이징 및 복원을 하고 사운드는 김의석 감독 총연출하에 100% 재작업 된 새로운 버전이다.
김동현 / 서울독립영화제2024 집행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