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의 시대: 서비스 노동의 관계미학

서울독립영화제2015 (제41회)

본선경쟁 단편

김숙현, 조혜정 | 2014 | Documentary, Experimetal | Color | HD | 23min 40sec

SYNOPSIS

주어진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듯, 무용수들은 감정노동자의 역할들을 담당한다. 퍼포머는 2분 30초 동안 해석된 공간 안에서 정지된 동작으로 견뎌낸다. 이때 나는 계속 ‘웃어주세요’라는 주문을 한다.

DIRECTING INTENTION

움직임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무용수들을 정지상태로 만들어 놓은 아이러니가 있다. 외적인공간 안에서 통제되는 육체와 감정이 있다. 그 통제된 것들은 바로 자본화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던가.

FESTIVAL & AWARDS

2015 제15회 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 한국대안영화상
2015 제16회 전주국제영화제

DIRECTOR
김숙현, 조혜정

김숙현, 조혜정

김숙현(우)
2005  <우주공허> 
2006  <부산광역시수영구광안3동> 
2007  <모던한 쥐선생과의 대화> 
2007  < the crossing > 
2010  <죽은개를찾아서>
2012  <도시정물>
2013  <홀드 미> 
조혜정(좌)
2001 <젠더, 제스츄어 그리고 공간에 관한 실험>
2003 <성권력의 문화적 각본들>
2004 <부산텍사스>
2004 <리틀시카고 동두천>

2005 <출산다큐멘트>

2006 <친숙한 이방인들>

2007 <위대한 타자들> 
2007 <몸연구>
2008 <대안적 연대기>
2009 <통(痛): 상실한 것에서 그들이 기억하는 것 1>
2010 <통(痛): 상실한 것에서 그들이 기억하는 것 2> 
2011 <재구성의 경로들>
2013 <홀드 미>
2015 <웃으면 복이 와요>
STAFF

연출 김숙현 조혜정
제작 김숙현 조혜정
촬영 김영진 김보람
편집 김숙현 조혜정
조명 박찬윤
미술 김숙현 조혜정
녹음 최지원
출연 김보람 김성현 김민진 유정화 윤나라 이정민 임샛별 정유진

PROGRAM NOTE

<감정의 시대: 서비스 노동의 관계미학>(이하 <감정의 시대>)은 소모품으로 전락한 서비스업 종사자들의 노고를 조명하는 다큐멘터리다. 말이 좋아 노고지, 이 영화가 주목한 보육교사, 휴대전화 A/S 센터 엔지니어, 콜센터직원, 뷰티 매니저, 경호원, 마트 캐셔, 간호조무사, 패밀리 레스토랑 조리 및 서버, 스튜어디스가 처한 노동 환경을 감상(?)하고 있으면 ‘헬조선’의 실태가 민낯을 드러낸다. 지옥 같은 이들의 현실을 두고 ‘감상’이라 표현한 데에는 이 영화의 미학과 관계가 있다. <감정의 시대>는 이들의 직장을 직접 찾아가는 대신 인터뷰 내용을 내레이션으로 깔고 무용수를 캐스팅해 행위 예술로 직업적 고통을 묘사한다. 예컨대, 마트 캐셔로 분한 이가 작은 종이 상자 안에 몸을 구겨 넣은 그 위로 마트 상품이 폭력적으로 떨어지는 식이다. 그렇게 직업별로 2분 30초씩을 할애한 영화는 각각의 인물을 비추되 원테이크 원씬의 촬영을 고수한다. 불편한 자세에서 힘들게 버티고 있는 이들의 고통을 간접적으로 관객에게 전달해 체험토록 하는 것. 이는 <감정의 시대>가 지닌 태도와 질문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견딜 수 있겠는가?’ 다시 말해, 부조리와 불합리로 점철된 서비스업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하루빨리 개선해야 한다는 호소이다.

허남웅/서울독립영화제2015 예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