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동무
서울독립영화제2004 (제30회)
장편경쟁
김태일 | 2004 | Documentary | DV | Color | 74min
SYNOPSIS
스무 살 주희는 이제 막 귀농을 준비하고 있다. 그는 서울에서 ‘노숙자가 되는 게 두려워’ 땅을 일구는 법을 배우기 시작했다. 주희는 쌀농사를 중요기반으로 하는 우리농업이 WTO발휘와 함께 운명을 다 할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우리 쌀 지키기 백인백일걷기에 참가하여 다양한 사람들을 만난다. 더위와 사람들 사이의 갈등과 약해지는 마음 사이에서 주희는 고민하며 하루하루 걸어나간다. 길고 긴 땡볕 아래 길을 떠나는 사람과 남는 사람들이 있다. 주희는 이전의 자기와 싸우며 농사를 짓겠다는 꿈을 걸고 남는다. 그런 주희에게 친구가 생겨난다. 서울에서 같이 쉼터에 있었던 친구들은 주희와 걸으며 새로운 우정을 나눈다. 떠나는 어른들 속에서 아이들은 길 위에서 그을리며 성장한다. 주희는 자신의 약한 모습, 부끄러움, 망설임, 불안을 사람들에게 내보이며 희망의 끈을 놓지 않는다. 한여름에 시작한 주희의 첫 발걸음은 마침내 백일걷기의 마지막 날 서울에서 멈춘다. 주희는 길에서 만난 새로운 동무들에게서 힘을 얻고 돌아가 더욱 꿋꿋한 모습의 농사꾼이 되려고 한다.
DIRECTING INTENTION
나는 운 좋게 우리 쌀 지키기 100인100일 걷기 동안 다양한 사람들을 만날 수 있었다. 그들은 각자 참가하는 이유도 다양하고 처지도 달랐다. 2004년 쌀 개방 협상에 맞선 우리 농업의 위기를 알리기 위해 참가한 사람들이었다. 1994년 우루과이 농산물 협정이 10년 유예되었지만 농업정책은 변화가 거의 없고 농산물 개방은 기정사실화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농부에 의해 제기된 우리 쌀 지키기 100인100일 걷기운동은 위기상황을 모르는 국민들에게 무너지는 농촌의 상황을 알려야 한다는 절박함에서 시작되었다. 그래서 100인의 간절한 염원을 담아 100일 동안 정성을 다한다면 하늘도 움직인다는 소박한 마음에서 출발한 운동은 숱한 우여곡절을 겪으며 진행되었다. 그 중에서도 약물청소년들의 치유공동체 새 샘터 소속 이주희(20세)씨도 참가하였다. 이주희씨는 어릴 적 집을 나와 오랜 시간 방황을 하고서 처음으로 자신이 선택한 농부의 길을 가려고 준비하고 있다. 백일걷기운동을 통해 농사꾼이 되려는 의지를 확인하는 길이여서 자연스레 이주희씨 시점으로 촬영하려고 했다. 나는 이주희씨와 걷기를 함께 하면서 작은 희망의 싹을 발견할 수 있었다. 생전 처음으로 사회성을 체험하는 이 친구들이 짧지 않은 기간 동안의 경험으로 새로운 인생의 전환점을 맞았다. 이들의 선택이 작고 볼품 없어 보이지만 우리 농촌과 우리 땅 우리 생명의 먹을 거리를 만들어내는 농업의 소중한 가치를 안고 가려는 소박한 마음을 담아 보았다.
FESTIVAL & AWARDS
제9회 부산국제영화제
DIRECTOR

김태일
1993 <원진별곡> (38분) 오오사카 예술제 초청 1995 <분단을 넘어 선 사람들> (85분) 1995 <어머니의 보라빛 수건> (48분) 야마가타 영화제 초청 제1회 부산영화제 와이드앵글 아시아 독립비디오한마당 인디포럼96 1996 <풀은 풀끼리 늙어도 푸르다> (58분) 제9회 카톨릭 영상대상 수상 제1회 인권영화제 1998 <22일간의 고백> (50분) 제1회 대만국제다큐멘터리 영화제 초청 제3회 부산국제영화제 제3회 인권영화제 2000 <4월9일> (125분) 제5회 인권영화제 2001 <희망을 일구는 사람들> 제8회 인천인권영화제 2003 <나도 노동자이고 싶다> (33분) KBS 열린채널 제8회 부산국제영화제 와이드앵글 |
STAFF
연 출 김태일
조연출 안미선
촬 영 이강길, 김선호
구 성 안미선
녹 음 표용수
음 악 정혜원
나레이션 이주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