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다큐페스티발 2007 (2007. 3. 30 ~ 2007. 4. 3)


기 간 : 2007년 3월 30일(금) ~ 4월 3일(화)
장 소 : 서울아트시네마
주 최 : (사)한국독립영화협회
주 관 : 인디다큐페스티발 2007 집행위원회
후 원 : 영화진흥위원회, 영상미디어센터 미디액트, (사)한국농아인협회, (사)한국시네마테크협의, CJ 엔터테인먼트, CJ CGV, 스폰지
공식홈페이지 :  http://www.sidof.org
입장료 : 무료


인디다큐페스티발 2007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인디다큐페스티발,
봄의 활력으로 새롭게 움트다


  ‘인디다큐페스티발’은 지난 2001년 1회를 시작으로 지난 6년간 국내외 독립다큐멘터리를 관객에게 소개하고, 독립다큐멘터리와 함께 소통하는 장을 만들어왔습니다. 매년 10월 말에 개최되던 ‘인디다큐페스티발’은 한 해 동안 제작된 독립다큐멘터리들을 소개하고 정리해왔습니다. ‘인디다큐페스티발’은 독립다큐멘터리들이 제기하고 있는 사회적 이슈들을 짚어보는 한편, 그러한 이슈들이 제기하는 다큐멘터리의 형식과 미학의 흐름과 경향을 일별할 수 있는 축제의 장이었습니다.

  7년째를 맞이하는 올해부터 ‘인디다큐페스티발’은 개최시기를 새움이 트는 계절, 봄으로 옮겨서, 많은 관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는 동시대 사회의 문제를 다양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독립다큐멘터리의 역동적인 에너지를 봄의 활력으로 새롭게 나누기 위함입니다. 봄의 활력으로 새롭게 움트는 ‘인디다큐페스티발 2007’은 오는 3월 30일(금)부터 4월 3일(화)까지 5일간 서울아트시네마에서 열립니다.

새롭게 출발하기 위한 성찰,
인디다큐페스티발 2007


  ‘인디다큐페스티발 2007’은 새로운 모습으로 출발하기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인디다큐페스티발이 걸어온 길을 되짚어보려고 합니다. 2001년 시작된 인디다큐페스티발의 역사는 2000년대 이후 한국 독립다큐멘터리의 변화와 흐름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습니다. ‘인디다큐페스티발 2007’의 국내 프로그램 [인디다큐 시간여행]에서는 지금까지 인디다큐페스티발에서 상영되었던 한국 독립다큐멘터리 중에서 다시금 보고 싶은 영화들을 선정하여 상영합니다. [인디다큐 시간여행]은 6년간 ‘인디다큐페스티발’에서 상영되었던 독립다큐멘터리들을 일별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인디다큐페스티발 2007’은 과거 상영작을 중심으로 하는 국내 프로그램 외에도, 국제적인 이슈와 새로운 미학을 실험하고 있는 해외 신작 다큐멘터리를 소개하는 ‘올해의 초점’, 근간에 제작된 국내 독립다큐멘터리가 공동체 상영의 방식으로 대안적으로 배급될 수 있는 길을 모색하는 ‘오픈마켓_세미나’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인디다큐 시간여행](국내 프로그램)에서는 지난 6년간 인디다큐페스티발에서 상영되었던 총 107편(장편 및 중/단편) 국내 독립다큐멘터리 중에서 관객, 평론가, 감독 등이 참여하여 선정한 12편의 영화를 상영합니다.
[올해의 초점](해외 프로그램)에서는 해외 다큐멘터리의 현재성을 조망할 수 있는 최근 세계 각지에서 제작된 5편의 다큐멘터리를 접할 수 있습니다.
[전야행사: 다큐, 음악이랑 정분나다]는 인디밴드의 공연과 함께 음악축제를 다룬 다큐멘터리 <글래스톤베리>를 상영하는 영화제의 전야행사입니다.
[오픈마켓_세미나]는 더 많은 사람들이 독립다큐멘터리를 접할 수 있는 대안적인 배급의 활로를 찾기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소통과 대화, 즐거운 참여의 공간!
모두 함께 만들어가는 인디다큐페스티발 2007


  ‘인디다큐페스티발 2007’은  ‘실험, 진보, 대화’라는 슬로건과 함께, 관객이 영화제에 접근하는 문턱과 장벽을 가능한 낮추어, 더욱 다양한 사람들의 소통의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우선은 올해의 국내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인디다큐 시간여행] 상영작 선정 과정은 보다 너른 영역의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습니다. 영화감독, 평론가, 관객 등 다양한 사람들이 참여한 국내 프로그램 선정 과정은 한국 독립 다큐멘터리와 인디다큐페스티발의 역사를 함께 되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상세한 내용은 국내 프로그램 소개 페이지로)

  한편, ‘인디다큐페스티발2007’은 장애인 관객들의 접근도를 높이기 위해 고민하고 있습니다. 지체 장애인들이 휠체어로도 극장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계단 부분에 경사로를 설치할 예정입니다. 시각 장애인들도 영화를 관람할 수 있도록 몇 편의 영화의 화면 해설 상영과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한글 자막 상영도 진행할 예정입니다. 물론 장애인 접근권을 보장함에 있어서 ‘인디다큐페스티발’의 시도는 한계가 있을 것입니다. 앞으로도 ‘인디다큐페스티발’은 차별 없는 관람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계속해서 노력하고자 합니다.

  ‘인디다큐페스티발2007’은 지난 인디다큐페스티발에서 상영되었던 영화들이 더 많은 관객과 교감을 나눌 수 있도록, 올해 특별히 입장료를 무료로 결정하였습니다. ‘인디다큐페스티발2007’은 막대한 물량공세를 펼치는 상업영화들의 틈바구니에서 어렵게 제작되고 있는 독립 다큐멘터리들과 관객들이 대화하고 소통하는 공간이 되고자 합니다. ‘인디다큐페스티발2007’에 참여함으로써 다큐멘터리가 이야기하는 다른 세상에 대해 소통과 대화를 나누는 즐거운 참여의 공간을 발견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인디다큐페스티발2007,
독립다큐멘터리와 함께하는 새로운 출발


  독립다큐멘터리는 현실에서 찾아 볼 수 있는, 혹은 현상의 이면에 가려진 것들을 꾸준히 이야기해왔습니다. 독립다큐멘터리 전문 영화제 ‘인디다큐페스티발’은 다큐멘터리 영화들이 제기하는 문제들과 그것을 바라보는 다른 시선을 관객들과 소통하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2007년 봄, 인디다큐페스티발은 새로운 출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인디다큐페스티발은 관객 여러분의 눈과 다큐멘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눈, 눈과 눈이 마주하고 빛나는 순간들에 함께 하고자 합니다. 독립다큐멘터리와 관객들의 삶의 다양한 이야기들과 함께 새롭게 출발하는 ‘인디다큐페스티발 2007’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 개막식

일 시  |  2007년 3월 30일 (금) 저녁 7시
장 소  |  서울아트시네마
개막공연  |  캐비넷 싱어롱즈

▣ 개막작  
                                                  
* 송환   Repatriation 김동원 / 2003 / 148분 / DV / Color

30년을 감옥에서 살면서도 공산주의 신념을 꺾지 않았던 비전향 장기수들. 이 영화는 비전향 장기수들과의 오랜 만남을 그들이 지켜온 신념만큼이나 진득하게 기록한다. 오랜 세월에 대한 꼼꼼한 기록뿐만 아니라 장기수들과의 애정어린 관계 속에서 맺어진 신뢰를 통해서 영화 안팎에서 감동을 능수능란하게 이끌어낸다.

인디다큐페스티발2003 폐막작, 2003 야마가타 국제다큐멘터리 영화제 상영
서울독립영화제2003 대상, 관객상 수상, 2004 선댄스영화제 표현의 자유상 수상


▣ 폐막식
                                                    
일 시  |  2007년 4월 3일 (화) 저녁 7시
장 소  |  서울아트시네마

▣ 폐막작
                                                  
* 쿠바, 천국의 가치   Cuba, The Value of Utopia
쟈나라 구아쟈사민 Yanara Guayasamin / 2006 / 벨기에, 에콰도르 / 116분 / DV / Color

1959년 바티스타 독재정권에 대항하여 혁명을 일구어냈던 쿠바. 수십년이 지난 지금, 쿠바 혁명에 가담했거나 이것을 지켜보았던 사람들이 당시 혁명에 대한 이야기를 개인사와 함께 촘촘하게 풀어놓는다. 신념을 갖고 행동했던 사람들의 오래된 이야기가 오늘날 쿠바의 풍광과 함께 흐른다. 지금 쿠바가 직면하고 있는 현실은 무엇인가.
쿠바 혁명의 과거를 기억하고 새로운 미래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쿠바, 천국의 가치>는 2007년 새로운 마음으로 다시 시작하고자 하는 인디다큐페스티발에 있어서도 많은 시사점을 던져줄 것이다.

2006 암스테르담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



▣ [인디다큐시간여행] 상영작 목록

* 192-399: 더불어 사는 집 이야기   이현정 / 2006 / 126분 / DV / Color        
* 농가일기   권우정 / 2004 / 85분 / DV / Color                
* 명성, 그 6일의 기록     김동원 / 1997 / 74분 / DV / Color                
* 송환 (개막작)     김동원 / 2003 / 148분 / DV / Color                
* 안녕, 사요나라     김태일, 카토 쿠미코 / 2005 / 107분 / DV / Color        
* 엄마를 찾아서     정호현 / 2005 / 61분 / DV / Color                
* 영매: 산자와 죽은자의 화해     박기복 / 2002 / 105분 / DV / Color        
* 이중의 적     이지영 / 2003 / 129분 / DV / Color                
* 작별     황윤 / 2001 / 81분 / DV / Color                
* 진실의 문     김희철 / 2004 / 105분 / DV / Color                
* 파산의 기술記述     이강현 / 2006 / 61분 / DV / Color        
* 팬지와 담쟁이     계운경 / 2001 / 50분 / DV / Color                


▣ [올해의 초점] 상영작 목록

* 뉴욕돌 New York Doll
 그렉 화이틀리 Greg Whiteley / 2005 / 미국 / 75분 / DV / Color
* 디트로이트: 한 도시의 폐허 Detroit: Ruin of a City
 마이클 채넌 & 조지 스타인메츠  Michael Chanan & George Steinmetz / 2005 / 미국 / 92분 / DV
* 블랙 골드 Black Gold
 마크 프랜시스 & 닉 프랜시스 Marc Francis & Nick Francis / 2006 / 영국 / 78분 / DV / Color
* 영화수업 Film Class
우리 로젠왁스 Uri Rosenwaks / 2006 / 이스라엘 / 53분 / DV / Color
* 쿠바, 천국의 가치 Cuba, the Value of Utopia (폐막작)
쟈나라 구아쟈사민 Yanara Guayasamin / 2006 / 벨기에, 에콰도르 / 116분 / DV / Color


▣ 전야행사: 다큐, 음악이랑 情分나다

일 시  |  2007년 3월 29일 (목) 저녁 7시 30분
장 소  |  홍대 까페 빵
상영작 |  글래스톤베리 (Glastonbury, 줄리언 템플 감독, 2006)
공 연  |  그림자궁전, 눈뜨고코베인, 뭄바트랩
주 최  |  인디다큐페스티발 2007, 까페 빵
후 원  |  스폰지
참가비 |  10,000원 (음료 1개 포함)


▣ 오픈마켓_세미나

변화하는 독립영화 배급/상영의 정책과 환경에 따라 공동체상영운동네트워크, 커뮤니티시네마(공동체/공공 상영관) 네트워크, 배급사 네트워크 등 다층적 (배급)상영네트워크가 가지는 의미와 방향은 무엇인가?

일시 : 2007년 4월 1일 2시
장소 : 미디액트 대회의실
주제 : 상영네트워크의 의미와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