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독립영화제2018 본선경쟁 부문 장편 예심 심사평

서울독립영화제2018에 출품된 장편 작품의 수는 119편입니다. 근래 경향대로 극영화가 70편으로 다수를 차지했으며, 다큐멘터리와 실험영화에 해당하는 작품도 49편으로 꾸준히 영역을 지켜 나가고 있습니다. 예년과 다른 특별한 경향을 발견하기는 힘들었으나 몇 가지 소재와 주제가 심화되었음을 확인하는 자리였습니다. 하나는 빈곤의 일상화입니다. 청년의 일자리 수준에서 좀 더 나아가, 한국인의 삶의 질을 심각하게 고민한 영화가 많았습니다. 현실을 외면하는 상업영화와 달리 독립영화 진영에서 빈곤의 문제를 놓치지 않고 파고드는 것은 진심으로 반가운 일입니다. 또 하나는 여성이 주체가 되는 영화의 홍수입니다. 사회 정치적으로 여성이란 화두가 뜨거워진 만큼 현실이 짙게 반영된 결과일 것입니다. 영화를 만드는 주체, 영화를 이끌어가는 주체, 문제를 해결하는 주체 등 모든 면에서 여성이 중심에 선 영화를 거푸 대면하는 바, 이런 상황이 보다 진보되고 발전된 미래로 이어지기를 바랍니다.

4명의 장편 예심위원은 119편의 장편영화를 놓고 몇 차례에 걸쳐 선택의 작업을 진행했으며 그 결과 10편의 본선경쟁 부문 상영작을 뽑았습니다. 먼저, 네 편의 다큐멘터리는 각기 다른 공간과 시간을 빌려 한국 사회를 흥미진진하게 되돌아봅니다. 한 청년이 갓 입대한 순간부터 제대하기까지의 시간을 뒤따라가는 <군대>는 TV의 시시한 군대 쇼와 대비됩니다. 감독의 내레이션과 청년의 병영 생활이 도리어 맞부딪히는 과정을 통해 군대 다큐멘터리는 한 남자의 심리극으로 화합니다. <졸업>은 얼핏 보기에 한 사립대학교의 부정한 재단을 고발한 기록물입니다. 그런데 10년의 시간을 거치면서 영화는 점차 매크로한 사회 읽기로 변모하고, 마이크로하게는 한 청년의 성장담으로 기능합니다. <길모퉁이가게>에서는 자본주의의 욕망이 빚은 ‘우리의 실낙원’과 마주합니다. 시스템의 아웃사이더로 자립하려던 청년들이 도시락을 배달하는 기계로 변모하는 과정을 바라보는 것은 그 자체로 깊은 슬픔입니다. <김군>은 과거의 역사를 담는 새로운 그릇으로서의 다큐멘터리입니다. 사진에 박힌 인물을 찾아가는 여정은 1980년의 시간으로 돌아가도록 이끄는데, 과거의 기억을 더욱 매력적인 대상으로 만드는 것은 명징함보다 모호함입니다.
네 편의 다큐멘터리를 선택하는 과정과 비교한다면, 여섯 편의 극영화는 더 많은 토론을 요구했습니다. <겨울밤에>에서 우리는 근래 등장한 흥미로운 감독의 변화를 목격했고 그것을 더 깊이 들여다보고 싶었습니다. 그는 부지런함마저 겸비한 작가입니다. <밤빛>과 <작은 빛>은 한국 독립영화의 대지에 얼마나 많은 보물들이 숨겨져 있는지 방증하는, 미지의 작가의 최전선에 놓인 감독들의 작품입니다. 가족의 이야기에 공히 ‘빛’이라는 제목을 사용한 두 작품은 영화가 빛의 예술임을 새삼 깨닫게 합니다. 전자가 선의 여백에 빛이 스며든 수묵화 같다면, 후자는 빛의 움직임에 맞춰 읽는 가족일기처럼 느껴집니다. <아워바디>는 제목 그대로 그녀들의 육체에 관한 선언입니다. 논리적인 귀결을 따지기보다 현대 사회에서 여성으로 살아가면서 받아들였던 무게를 서슴거리지 않고 드러냅니다. <보희와 녹양>은 미소와 함께하는 귀여운 작품입니다(소년의 이름이 ‘보희’랍니다). 소년과 소녀의 로드무비는 도달한 지점보다 그 여정에서 풍요로운 진실들을 전달합니다. <메기>는, 신선함의 끝에서 어디로 데려갈지 기웃거리다 보면 문득 어딘가에 도착해 있는, 그런 작품입니다. 그것이 장난인지 조롱인지 모호하지만,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처음 읽었을 때도 그랬음을 떠올렸습니다.
119편의 작품 중 단 10편의 작품이 선택되었습니다. 진심으로 말하건대 예심위원들은 나머지 109편의 작품을 애정 어린 시선으로 보았고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아쉬움이 있다면 소수의 작품만 들어갈 수 있는 ‘좁은 문’일 것입니다. 낙담치 마시고 다음 작품으로 새로운 문을 열어나가시길 기원합니다. 영화제 또한 더욱 넓은 문을 만들어가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본선경쟁 부문 장편 예심위원(가나다순)

김동현(서울독립영화제2018 집행위원장)

남다은(영화평론가)

모은영(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프로그래머)

이용철(영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