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manent People
2012
NEW CHOICE
HEO Chul-nyung | 2012 | Documentary | Color | HD | 72min 32sec
SYNOPSIS
It's been 4 years since Owk Hwa passed away. Jung Jin, Owk Hwa's husband, continues to work as a junk dealer, having a dream of opening his own junk shop. A hope of making a good chunk of money gets bigger, as the situation turns out to be favorableㅡthe house which they lived in for 17 years is to become part of the urban redevelopment. But for Jung Jin and his family, nothing can really heal the wound of Owk Hwa's empty spot.
DIRECTING INTENTION
The “intangible” relationship among a family starts to change when a family member dies. And when it meets with the “tangible environment” of a big city, boiling up with the lust of big capital, a different kind of desire and ideology starts to emerge. May this film be a chance to look upon this status quo.
FESTIVAL & AWARDS
2012 제4회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DIRECTOR

HEO Chul-nyung
2010 <명소>
STAFF
Director HEO Chul-nyung
Cinematography HEO Chul-nyung, PARK Jun-yeon
Editor HEO Chul-nyung
Cast LEE Jung-jin, LEE Sun-hee, LEE Seung-woo, LEE Po-Ja
PROGRAM NOTE
감독의 외숙모인 ‘옥화’가 세상을 떠난 후, 4년이 지났다. 영화는 그녀가 떠난 후 여전히 그 공간에서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의 일상을 담고 있다.(영화의 영문 제목은 ‘남은 사람들 The remanent people’이다.) 남은 삼부자(외삼촌과 두 아들)의 일상 속에는 그녀의 부재 효과가 역력하고, 이웃에 살고 있는 두 여성(감독의 이모와 옥화의 여동생)이 그녀의 빈자리를 채워 주고 있다. <옥화의 집>은 이렇게 ‘남은 사람들’이 연약하면서도 끈끈한 공동체를 이루며 살아가고 있는 공간의 다른 이름이다. 그곳은 ‘재개발의 공간’(용산)이기도 하다. 가장 비극적인 재개발의 상흔이 남아 있는 그 공간 주변 어딘가에는, 여전히 그곳을 삶의 터전으로 삼아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그 공간의 ‘풍부한’ 폐지와 폐자재가, 외삼촌의 생계 원천이다.) 17년째 살아온 집의 소유자로서의 소박한 낙관과 기대(새 삶을 꿈꾸고 설계하는 아버지), 여전히 알 수 없는 미래에 대한 불안과 근심(2년째 백수로 지내고 있는 두 아들), <옥화의 집>에는 이렇듯 두 이질적인 정서가 공존하고 있다.‘부재하는 자의 시선’으로 포착된 공간, 과거(홈비디오와 사진)와 현재가 공존하는 시간, 그렇게 창조된 영화적 시공간 속에 담긴 삶의 다양한 결(여전히 낭만적 로맨티스트인 가부장, 그 낭만의 그늘 속에서 여전히 ‘옥화’로 살아가는 여성들, 어쩔 수 없이 불안 세대인 아들들, 그리고 욕망과 불안이 공존하는 재개발이라는 시대의 공기), 이것이 ‘옥화의 집’이고, 허철녕의 다큐멘터리이다. 허철녕은 전작 <홍역괴물>(2011)에 이어서, 가시적 공간과 비가시적 기억이 정교하게 교직된 자신만의 영화 세계(‘시적 다큐멘터리’)를 만들어 가고 있다.
변성찬/영화평론가